본문 바로가기

지구봄 3분

(6)
자전거 도시 계획 마스터 클래스 in 코펜하겐 - 자전거 중심의 도시 계획 (참고 | The annual Copenhagenize Master Class) 🐥사람 사이에 물리적으로 거리를 두는 기간이 더 연장되었어요. #집콕 이 권장되고 있지만, 여전히 회사에 출근하고, 필요한 일을 하기 위해 어딘가로 가기 위해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 저는 걷는 것을 좋아해서 급하지 않으면 도보 30분 정도의 거리는 걸어서 이동합니다. 저희 아버지는 주로 자전거를 타시는데, 버스보다 빠르고 간편해서 이용하신다고 해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의 형태에 따라 교통수단을 선택할 수 없이 자동차나 버스, 지하철을 이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도시 계획 단계부터 사람들의 이동성에 대한 사례 연구와 활발한 정보 교류가 필요합니다. 도시 디자인을 컨설팅하는 기업이자..
<리빙 더 체인지> - 와이 웨이스트 Why Waste - 지렁이 농장 (Worm Farm)을 구독하세요 지구봄 프로젝트🌵배급작품 는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을 실험하는 다양한 공동체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구봄 3분을 통해 사례들을 소개하는 그 두 번째 시간! 뉴질랜드 타우랑가 지역의 유기물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 사업을 하는 와이 웨이스트 Why Waste 입니다. *첫 번째 사례 블로그 글 ✔️ - 베이스워터 리페어 카페 레오 머레이 Leo Murray / Why Waste 대표 레오 머레이는 문제 해결에 기여하려면 일상적인 선택을 통해 우리의 행동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최소한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우리의 문화와 생활양식의 변화, 그리고 자연과 우리가 연결되었다는 인식에 초점을 두고 있죠. 뉴질랜드에서는 매립되는 폐기물의 약 50%는 ..
제로웨이스트, 코로나19에서 살아남을까? - 스타벅스 본사 개인용 머그잔, 개인 텀블러 사용 일시적 중단에 대한 생각 (출처 | 3월 11일 L.V.Anderson의 글 Grist Can the zero-waste movement survive the coronaviru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염성이 강하고 아직 치료제가 나오지 않은 이 신종 질병으로 인해 심각한 인명피해와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부디 세계인이 한마음으로 이 위기상황을 이겨냈으면 합니다.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에서도 다들 몸과 마음이 다치지 않기를 바랍니다. 🤜🏻🤛🏻 3월 4일 스타벅스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을 막기위해 매장 내에서 개인용 머그잔, 개인 텀블러 사용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했어요..
지속 가능 사회를 위한 50가지 아이디어 - Art & Media / Business & Tech / Climate & Energy / Food & Farming / Policy & Advocacy 부문 50인의 빛나는 아이디어 선정! 🐥오늘 구독하고 있는 Grist* 뉴스레터가 왔어요. 📩 매일 환경 뉴스를 받아보는 뉴스레터인데, 오늘은 완전 심쿵했죠! * Grist | 1999년 설립된 환경 뉴스 사이트 2020 Grist 50 Fixers - These 50 people are saving the world Grist에서는 2016년부터 매년 50인의 지속 가능성 리더를 선정하고 있는데요, 올해의 50인 명단을 오늘 발표했어요. 🗣 올해는 구독자에게 무려 1,000명의 후보를 받았다고 해요. 그중 환경정책, 식량 시스템, 청정에너지, 예술..
<리빙 더 체인지> - 베이스워터 리페어 카페 - 버리는 사람 대신 만드는 사람이 되는 길 지구봄 프로젝트🌵배급작품 는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을 실험하는 다양한 공동체 사례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지구봄 3분을 통해 사례들을 소개할게요. 첫 번째는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진행한 베이스워터 리페어 카페 Bayswater Repair Cafe입니다. 스테판 맥루키 Stephen McLuckie 코디네이터 리페어 카페는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팝업 이벤트로 2009년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었어요. 고장 난 전자제품이나 수리가 필요한 원목 가구, 수선해야 하는 옷 등 개인 소지품을 가져오면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전문가들이 무료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셉이에요. 베이스워터 리페어 카페는 다양한 지역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모델이 될 수 있어요. 리페어 카페에 참..
폐휴대폰으로 만든 주얼리 - 전자 폐기물의 재활용 비즈니스 (출처 | 2월 14일 Maddie Stone의 글 grist https://grist.org/climate/jewelry-made-from-e-waste-is-the-perfect-last-minute-valentines-day-gift/) 🐥간단한 수학 문제! 오늘 금 1돈 (3.75g)의 시세는 248,000원입니다. (3/2 한국표준금거래소 제공) 1대의 휴대폰에는 대략 0.025g의 금이 들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몇 대의 폐휴대폰을 모으면 금 1돈의 가치가 될까요? (정답 : 150대) 전 세계 50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고, 매년 국내에서 버려지는 휴대폰만 해도 2000만 대 정도라고 하니, 생산-소비-폐기의 사이클에서 정말 엄청난 양의 폐..